티스토리 뷰

경기도는 휴가 여건이 열악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휴식권 제고를 위해 휴가비를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정책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휴가를 가고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경기도 비정규직 휴가비 지원

 

1. 정책 개요

경기도 노동자 휴가비 지원 정책은 휴가 여건이 열악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휴식권 제고를 위해 경기도가 시행하는 사업입니다. 노동자가 자부담으로 15만원을 적립하면, 이에 대해 경기도가 25만원을 추가로 지원, 해당 노동자는 총 40만원 상당의 적립금을 휴가 및 여가 비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연간 총소득 3,600만원(월 소득 300만원) 이하인 만 19세 이상 도민 중 대리운전기사, 학습지 교사, 보험설계사 등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기간제노동자, 파견/용역 노동자 등의  비정규직 노동자입니다. 신청은 경기도 노동자 휴가비 지원사업 온라인몰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으며 기한은 2023년 5월 26일까지입니다.

경기도 노동자 휴가비 신청 바로가기
경기도 노동자 휴가비 신청 1

 

2. 정책 효과

경기도 노동자 휴가비 지원 정책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고, 여가 활동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노동자들에게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노동자 휴가비 지원 정책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정책의 수혜자들은 정책에 참여한 후 휴식을 즐기고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고 응답했습니다. 또한, 정책에 참여한 후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응답했습니다.

경기도 노동자 휴가비 신청 2

 

3. 정책 한계

하지만 해당 정책도 몇 가지 한계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첫째, 정책의 지원 대상이 특정 직종에 국한되어 있어, 모든 비정규직 노동자가 정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둘째, 정책의 지원금이 40만원 정도로 그렇게 많은 지원금이 아니므로 비싼 휴가나 여가 활동을 하기에는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경기도 노동자 휴가비 신청 3

 

 

4. 정책 개선 방안

경기도 노동자 휴가비 지원 정책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고, 여가활동을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정책이나 위의 사항과 같이 한계도 존재합니다. 정책의 한계를 보완하고, 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3가지 사항의 개선이 필요하겠습니다.

첫째, 정책의 지원 대상을 모든 비정규직 노동자로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정책의 지원금을 늘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더 나은 휴가나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셋째, 정책의 홍보를 강화하여, 더 많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정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책의 한계를 보완하고, 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이 실행되어, 해당 정책이 비정규직 노동자의 싦의 질을 향상하는 데 더욱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여 봅니다.